Oracle Database의 기동상태는 총 4단계입니다.
Shutdown(IDLE), No Mount(Starter, Dismount), Mount(Close), Open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본 문서는 각 단계별로 간단히 정리되어있고 Controlfile, Datafile, Redo log file 등의 세부내용은
다른 포스팅을 통해 천천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Shutdown 상태는 데이터베이스가 완전히 종료된 상태로 startup 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를 기동할 수 있습니다.
startup 명령어 뒤에 각각 상태 단계를 입력하여 해당 단계로 기동시킬 수 있습니다.
startup nomount, startup mount 가능
단계로 기동시키기 위해 alter database mount, alter database open의 명령어로 기동해야 합니다.
No Mount 단계는 데이터베이스가 초기화 파라미터 파일의 설정값을 읽고 인스턴스를 구성하고 필수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기동시키는 단계입니다.
$ORACLE_HOME/dbs 경로의 spfile.ora, spfile<SID>.ora, init<SID>.ora 에 기재된 파라미터 값을 참조하여
인스턴스를 구성하는데 dbs 경로에 적절한 파라미터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접근할 수 없는 상태라면
No Mount단계로 진입할 수 없습니다.
파일은 spfile.ora, spfile<SID>.ora, init<SID>.ora 파일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갖고 있으며,
해당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No Mount 단계로 진입할 수 없습니다.
spfile은 binary 파일이고 pfile(=init.ora)은 txt 파일입니다.
Mount 단계는 Control File경로로 이동하여 C,D,R을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서 C, D, R은 각각 Control file, Data file, Redo log file을 말합니다.
해당 내용은 다른 포스팅을 통해 소개하겠습니다.
Open 단계는 C,D,R의 시점정보와 각 데이터파일의 헤더에 저장된 시점정보가 일치하는지 정합성을 확인하여
Data 정보가 맞는지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Data의 정합성이 맞는다면 OPEN됩니다.
이와 같이 각각의 단계로 Startup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v$instance라는 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QL> select status from v$instance;
반대로 Shutdown 을 진행할때도 단계별로 진행되며 다음 포스팅을 통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라클 트리거 Oracle trigger 알아보자 (0) | 2020.12.02 |
---|---|
Oracle DBA의 alert.log로그관리법 알아보자 (0) | 2020.12.01 |
ORACLE DB_rman으로 아카이브 정리하기 (0) | 2020.11.25 |
#Oracle DBMS_Archive log mod/ No Archive log mode /아카이브모드/ 노아카이브모드 알아보기 (0) | 2020.11.24 |
Oracle Database의 정지절차_Shutdown명령 (0) | 2020.11.18 |
댓글 영역